검색
상세 검색
검색창에 두 개 이상의 키워드를 넣어,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확인하세요. (예: With POSCO)
"수소" 검색결과 332건
-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2022 대한민국 협상대상’ 수상
l 윈윈 협상력으로 이해관계자 설득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성공…본점 소재지 이전 건도 주총 가결 l 글로벌 리더십•협력 바탕으로 세계철강업계 탄소중립 리딩 및 제철소 정상화 공로 인정 l 최정우 회장 “글로벌 연대와 협력 강화해 지속가능한 미래 구현에 선도적 역할을 해나갈 것”
보도자료2023/03/24 -
포스코건설, 포스코이앤씨(POSCO E&C)로 사명변경
l `친환경 미래사회 건설을 위해 끝없이 業의 한계에 도전하는 기업` 의미 담아 l 20일 新사명 선포식 개최…퀀텀리프(Quantum Leap)의 원년으로 새롭게 도약 l 수소·이차전지, 신재생, 모듈러 등 친환경 사업분야 지속 확대 포스코건설이 내년 창립 30주년을 앞두고 친환경
보도자료2023/03/20 -
포스코-SK에코플랜트, 순수 국내 기술로 해상풍력시장에 ‘K-부유체’ 띄운다
l 부유식 해상풍력 핵심 구조물인 부유체 공동 개발… DNV 덴마크로부터 기본설계 인증 획득 l 국내 산학 기술로 설계한 최초의 한국형 부유체… 포스코 성능향상강재 적용으로 극한의 해상환경에도 내구성 확보 l SK에코플랜트 동남해안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우선 설치…신재생에너지 철강 수요
보도자료2023/03/08 -
포스코케미칼, ‘포스코퓨처엠’으로 사명 변경
l ‘미래(Future)’와 ‘소재/변화/매니지먼트(Materials/Movement/Management)’의 이니셜 표기 M 결합 l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대전환을 추진하는 그룹의 변화에 앞장선다는 다짐 내포 l 김준형 사장, 윤덕일 본부장, 김진출 센터장
보도자료2023/02/24 -
[에너지 지식창고] ③ 염수에서 뽑는 백색 황금, 리튬
21세기에 들어 석유, LNG 같은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과 함께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발발로 에너지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 세계 각국은 자국 상황에 맞춰 에너지 공급망 강화를 위한 ‘자원안보*’에 주력하고 있다. 멕시코의 리튬 국유화,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
Business Story2023/02/24 -
포스코, 저탄소 생산체제 전환 착수… 광양 전기로 공장 신설 추진
l 20일, 이사회에서 광양소 연산 250만 톤 전기로 신설 의결…2026년 가동 예정 l 저탄소 생산체제로의 전환으로 탄소감축 이행요구 적극 대응 계획 포스코가 광양제철소에 전기로를 신설하고, 저탄소 생산체제로의 전환을 시작한다. 포스코는 지난 20일 개최된 정기 이사회에서 약
보도자료2023/02/21 -
[에너지 지식창고] ② 탈탄소를 향한 징검다리, 수소혼소발전
우리나라가 설정한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무(無)탄소 신(新)전원 활용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산업부는 청정수소발전제도(CHPS)를 내년부터 도입하고,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40% 달성을 위해 무탄소 연료인 수소·암모니아를 활용한 발전을
Business Story2023/02/17 -
포스코, 호주 저탄소 철강원료 선제적 확보 추진
l 포스코 김용수 구매투자본부장, 서호주 방문…로저 쿡 서호주 부수상 등 정부 주요 관계자들과 현안 협의 l 저탄소 철강원료 HBI 생산 프로젝트 추진 위한 적극적 협력 및 인프라 지원 요청 l 김 본부장 “그린철강 시대, 포스코가 서호주에서 선도해 나갈 것” 포스코가 2050
보도자료2023/02/13 -
[에너지 지식창고] ① 수소로 만드는 그린철강시대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사막화, 해수면 상승, 생태계 변화 등 전 세계적 기후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2018년에 개최된 IPCC 총회에서 채택한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도로 제한해야 인류 생존의 마지막 위협 상황을 막을 수 있다고
Business Story2023/02/10 -
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 밸류체인 강화해 ‘친환경 종합사업회사’로 도약한다
l 광양시 LNG터미널에서 ‘제2 LNG터미널 착공식’ 개최 l 25년까지 133만㎘ 저장용량 확보해 국내 1위 민간 LNG 터미널로 부상 l 133만㎘ LNG저장용량은 전 국민이 40일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난방용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규모 l 글로벌 에너지 위기 속 안정적인
보도자료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