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어는 최소 두 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포스코가 베트남 철강시장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포스코가 베트남 철강시장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뉴스룸 편집팀 2018/02/26

베트남 현지에서 오토바이랑 차가 지나가는 풍경이다. hello.posco blog.posco.com
인구 1억 명의 베트남 시장이 꿈틀대고 있다. 베트남 시장을 포스트 차이나, 블루오션으로 보는데 이견이 없는 수많은 기업들의 진출 러시도 날로 거세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지난해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APEC 정상회담에 즈음해 ‘親남방정책’을 발표하고 핵심 국가인 베트남과의 교역, 투자, 산업, 에너지, 통상 등 전방위적인 협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2020년까지 교역 목표를 전체 아세안 국가 목표 금액의 절반인 1000억 달러로 잡았다).

그야말로 베트남 라이징 시대에 포스코는 베트남 시장을 특별히 주목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다. 베트남은 포스코그룹 차원의 제1의 전략 국가일 뿐만 아니라, 이번에 해외 첫 솔루션마케팅센터도 베트남에 설립했다. 포스코 솔루션마케팅센터는 단순 제품 판매를 넘어, 현지 법인, 학계 및 본사와 협력해 성형, 접합, 성능 개선, 구조화 등 다양한 이용 기술을 고객사에 제공하는 곳이다. 지난 2월 7일 문을 연 베트남솔루션센터는 건축과 토목 관련 박사급 인력 25명이 상주하며 건설용 강재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렇다면 포스코는 베트남의 어떤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을까? 포스코경영연구원 김리원 수석연구원이 베트남 주요 경제지표로 분석해 봤다.

l 안정적인 거시경제, 견고한 성장 지속

2010년대 들어 베트남 경제의 가장 큰 특징은 만성적인 高인플레이션이 꺾이고 물가가 안정세에 접어들었고 빠른 경제성장으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여기에 베트남 전체 수출액 중 외국인직접투자(FDI) 기업의 비중이 2012년 55.9%에서 2017년 70.6%로 급상승하며 무역수지 적자 규모를 줄였고, 달러화 유입으로 높은 환율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내수 활성화와 수출 주도형 제조업의 견고한 성장이 뒷받침되어 IMF와 EIU 등 경제전망기관에서는 2018년에도 베트남 경제성장률을 6% 중반대로 예상했다.

베트남 주요 경제지표, 출처 - IMF, EIU, 베트남 세관총국, KOTRA 인구 단위 백만명 14년 90.73 15년 91.68 16년 92.64 17년 93.61 18년 94.59 gdp 성장률 단윈 % 14년 6.0 15년 6.7 16년 6.2 17년 6.3 18년 6.5 gdp 성장률 1인당 gdp 단위 U$ 14년 2,049 15년 2088 16년 2164 17년 2307 18년 2476 실업률 단위 % 14년 2.05 15년 2.4 16년 2.4 17년 2.4 18년 2.4 물가상승률 단위 % 4.09 15년 0.63 16년 2.05 17년 3.65 18년 3.9 무역수지 단위 U$백만 14년 2368 15년 -3554 16년 1777 17년 -1899 18년 -1249 경상수지 단위 U$ 백만 14년 9508 15년 906 16년 77 17년 227 18년 417 환율(연평균) 단위 VND/U$ 14년 21,148 15년 21698 16년 21935 17년 23208 18년 24258 외국인직접투자 단위 U$ 14년 90.0 15년 110.8 16년 120.5 17년 170.0 18년 N.A

△ 베트남 주요 경제지표, 출처 – IMF, EIU, 베트남 세관총국, KOTRA

 

l 건설용 강재 중심의 독보적인 철강시장

베트남 경제의 가파른 성장세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철강시장이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5년 동안 베트남 철강 명목수요는 연평균 18.1%나 성장했고, 필리핀(13.6%), 태국(5.7%) 등 다른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도 독보적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명목수요=생산+수입-수출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 철강 명목수요 그래프(천톤), 출처 - SEAISI(2017) 그래프가 있다. 년도는 11년부터 16년까지 있고 단위는 0부터 25,000까지 있다. 보라색은 싱가폴 2,832 연두색은 9,677 필리핀 빨간색은 10,256 말레이시아 파란색은 12,673 인니 청록색은 19,212 태국 주황색은 22,328 베트남.

△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 철강 명목수요(천톤), 출처 – SEAISI(2017)

베트남 철강 수요 견인에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건설업은 베트남 경제에서 주목해야 할 또 다른 축이다. 주택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와 공공 인프라 건설이 활기를 띠며 베트남 건설 지출액 규모는 연평균 8.5%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주택용 판재의 대량 소비로 봉형강뿐만 아니라 판재류 수요가 동반 상승하며 베트남 전체 철강 수요산업에서 건설용 강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93%를 넘어섰다. 인도네시아(65.3%), 태국(59.7%)과 비교하면 압도적인 수치다.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 산업별 강재 수요 비중(%) 그래프, 출처 - SEAISI(2017) 베트남 건설용 강재 93.1%차지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외자동차, 기계비중 고 태국 아세안 내 자동차 , 가전 수요 최고 원형 그래프 3개가 있다. 베트남 건설용 강재, 93,1%차지 [베트남 철강 수요 산업 비중] 청록색(건설) 93.1% 주황색(조선) 4.0%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외 자동차, 기계 비중 (한자) [인니 철강 수요산업 비중] 건설(청록색) 65.3% 조선(주황색) 4.2% (연두색)자동차 18.7% (보라색)기계/산업 6.1% 태국 아세안 내 자동차, 가전 수요 최고 [ 태국 철강 수요산업 비중 ] (청록색)건설 59.7% (연두색)자동차 19.0% (보라색)기계/산업 66.6% (노랑색)전기/전자 8.0% 청록색(건설) 조선(주황색) 자동차(연두색) 기계/산업(보라색) 노랑색(전기/전자) 하늘색(기타)

△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 산업별 강재 수요 비중(%), 출처 – SEAISI(2017)

 

l 향후 10년이 보장된 베트남 철강시장의 미래

도시화, 정부의 적극적인 인프라 확충 정책, 글로벌 생산기지로서의 역할 강화에 따른 글로벌 기업들의 대거 진출로 건설 부문 중심의 베트남 철강시장은 중장기적으로도 지속 성장이 예견되고 있다. 건설 및 인프라 분야 대표 분석기관인 BMI에서는 2018년 베트남 건설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9.8% 성장한 144억 달러를 넘어서고, 향후 10년 동안에도 연평균 약 11%대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도로, 철도, 공항 등 베트남 교통 인프라 시장 역시 베트남 정부 주도 프로젝트의 증가로 2026년까지 연평균 약 10%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베트남 건설 및 인프라 산업 전망(US$ 백만, %)그래프 건설산업 규모&성장률 17년 12635 9.6% 18년 14419 9.62% 20년 18248 7.14% 22년 22558 6.89% 24년 27986 6.75% 26년 34,685 6.72% 인프라산업 규모&성장률 17년 3364 6.3% 18년 3743 6.8% 20년 5011 5.4% 22년 5518 5.4% 24년 6689 5.5% 26년 8133 5.7%

△ 베트남 건설 및 인프라 산업 전망(US$ 백만, %), 출처 – BMI(2018.1분기)

 

l 베트남의 도시화 그리고 건설시장 더 알아보기

베트남의 도시화 수준은 2016년 기준 약 34%로 전 세계 평균인 54.3%보다 훨씬 낮을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주요 10개국 중에서도 캄보디아에 이어 9위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도시화 진행률에서는 최근 6년간 연평균 2%대의 성장률을 보이며 주요 10개국 중 라오스와 태국에 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38~40%의 도시화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UN에서는 베트남의 도시인구를 2030년에는 4,370만 명(2015년 기준 3,140만 명), 도시화율은 43% 수준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 도시화율 추이(%), 출처 - World Bank(2018) ※CAGR(연평균성장률,’10~’16년) 00년 05년 10년 12년 14년 16년 CAGR 순 베트남 24.4% 27.3% 30.4% 31.7% 33.% 34.2% 2.0% 태국 31.4% 37.5% 44.1% 46.7% 49.2% 51.5% 2.6% 인니 42.0% 45.9% 49.9% 51.5% 53.0% 54.5% 1.5% 말련 62.0% 66.6% 70.9% 72.5% 74.0% 75.4% 1.0% 필리핀 48.0 46.6 45.3 44.8 44.5 44.3 -0.4 싱가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0 동남아시아·태평양 4.12 46.6 51.8 53.8 55.7 57.5 57.5 1.8 세계 46.5 49.0 51.5 52.4 53.4 54.3 0.9

△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 도시화율 추이(%), 출처 – World Bank(2018) ※CAGR(연평균성장률,’10~’16년)

도시화 진척에 따라 도시로 몰려드는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 주택, 교통, 전력, 오폐수 등 하수시설 등의 신설 혹은 현대화 작업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정부 차원에서도 인프라 확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주택 수요 창출을 위한 저금리 대출, 해외 투자를 비롯한 민간 부분의 사회기반시설 투자 유인책을 내놓았다.

여기에 베트남의 풍부한 노동력과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수준으로 해외 유수 기업들의 글로벌 생산기지가 베트남에 터를 잡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공정 건설 등은 베트남 건설 부문 성장의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베트남 주요 건설·인프라 프로젝트, 출처 - BMI(2018.1분기) 교통인프라 프로젝트명 nha trang-saigon철도 현대화 철도 5,700백만u$ 승인완료 hon kho ai 항만 개발(ppp) 항만 2,500u$백만 승인완료 thanh pho ho chi minh 지하철 1호선 건설 철도 2490 u$백만 건설중 ha noi, lach huyen 심해항 개발(ppp) 항만 1,700u$백만 건설중 에너지 인프라 vinn hai,ninh thuan2 원자력발전소 발전소 11,000u$백만 계획단계 hai hau district, na dinh 화력발전소 발전소 4,500u$백만 계획단계 centeral nghe an , quynh lao 화력발전소 발전소 4,300u$백만 건설중 hau giang,song hau2 화력발전소 발전소 2,000u$백만 계획단계 사회인프라 thanh pho ho chi minh 무역센터 상업용건축 32,000 u$백만 계약완료 hoi economic znoe, binh dinh oil refinery 프로젝트 상업용 건축 26,900u$백만 계획단계 vung tau,xuyen moc 국제 생태·관광리조트 상업용건축 15,950u$백만 계약완료

△ 베트남 주요 건설·인프라 프로젝트, 출처 – BMI(2018.1분기)

관련 글 보기

URL 복사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공유하기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