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검색
검색창에 두 개 이상의 키워드를 넣어,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확인하세요. (예: With POSCO)
"수소" 검색결과 288건
-
포스코그룹, 페트로나스 그룹과 미래에너지 분야 협력 가속화
l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CCS사업 구체화 시켜 포스코그룹 2050 탄소중립 달성할 것” l 포스코 제철소 CO2 포집후 말련 해상에 저장… Cross-border CCS(국가간 CO2 포집·운송·저장) 사업모델 협의 l 양사 공동으로 그린수소와 블루수소 등 글로벌 청정수소
보도자료2023/04/03 -
포스코플로우, 친환경 미래소재 운송 기반 포스코그룹 물류망 혁신 본격 시동
l 철강 글로벌 통합물류망 운영∙ 친환경 미래소재 물류솔루션 ∙ 친환경 연원료 운송망 구축 3대 프로젝트 추진 l 그룹 내 물류역량 강화 위한 7개 사업회사와 TF 협의체 회의…. 통합 물류망 구축 본격 시동 포스코플로우가 3월 28일, 김광수 대표이사 주재로 물류통합 및 혁신
보도자료2023/03/31 -
버리면 폐기물, 모으면 귀한 원료! ‘철스크랩’ 산업화로 친환경 바람 불다
지난 2월 1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저탄소 철강생산 전환을 위한 철강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며, 친환경 경제 시대에 큰 가치로 떠오른 철스크랩 산업화 추진을 통해 철강산업의 대전환이 예고됐다. ‘철강산업 발전전략’은 철강산업의 새로운 도약 기반을 마련하려는 취지로,
포스코에세이2023/03/30 -
포스코그룹 국내외에서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지원 총력
l 최정우 회장 아르헨티나 대통령에게 지지 요청…그룹 차원 유치 지원 TF발족 l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주요 교섭 7개국 정재계 관계자들과 적극 소통 l 해외 관광지에 ‘부산엑스포 유치 기원’ 배너광고 및 버스정류장 설치 등 현지 홍보 총력 l 국제박람회기구 실사 대비
비즈니스2023/03/29 -
수해 극복 후 완전 정상화된 포스코, 미래 경쟁력 확보에 박차
l 50년 축적 세계 최고 조업 기술과 헌신적인 임직원 노력으로 포항제철소 침수 135일 만에 기적의 복구…친환경 철강 기술개발·4차 산업혁명 기술 혁신 집중 l ‘하이렉스(HyREX)’ 기반 수소환원제철 상용 기술개발 및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한 미래경쟁력 확보 l
보도자료2023/03/27 -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2022 대한민국 협상대상’ 수상
l 윈윈 협상력으로 이해관계자 설득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성공…본점 소재지 이전 건도 주총 가결 l 글로벌 리더십•협력 바탕으로 세계철강업계 탄소중립 리딩 및 제철소 정상화 공로 인정 l 최정우 회장 “글로벌 연대와 협력 강화해 지속가능한 미래 구현에 선도적 역할을 해나갈 것”
보도자료2023/03/24 -
포스코건설, 포스코이앤씨(POSCO E&C)로 사명변경
l `친환경 미래사회 건설을 위해 끝없이 業의 한계에 도전하는 기업` 의미 담아 l 20일 新사명 선포식 개최…퀀텀리프(Quantum Leap)의 원년으로 새롭게 도약 l 수소·이차전지, 신재생, 모듈러 등 친환경 사업분야 지속 확대 포스코건설이 내년 창립 30주년을 앞두고 친환경
보도자료2023/03/20 -
포스코-SK에코플랜트, 순수 국내 기술로 해상풍력시장에 ‘K-부유체’ 띄운다
l 부유식 해상풍력 핵심 구조물인 부유체 공동 개발… DNV 덴마크로부터 기본설계 인증 획득 l 국내 산학 기술로 설계한 최초의 한국형 부유체… 포스코 성능향상강재 적용으로 극한의 해상환경에도 내구성 확보 l SK에코플랜트 동남해안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우선 설치…신재생에너지 철강 수요
보도자료2023/03/08 -
포스코케미칼, ‘포스코퓨처엠’으로 사명 변경
l ‘미래(Future)’와 ‘소재/변화/매니지먼트(Materials/Movement/Management)’의 이니셜 표기 M 결합 l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대전환을 추진하는 그룹의 변화에 앞장선다는 다짐 내포 l 김준형 사장, 윤덕일 본부장, 김진출 센터장
보도자료2023/02/24 -
[에너지 지식창고] ③ 염수에서 뽑는 백색 황금, 리튬
21세기에 들어 석유, LNG 같은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과 함께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발발로 에너지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 세계 각국은 자국 상황에 맞춰 에너지 공급망 강화를 위한 ‘자원안보*’에 주력하고 있다. 멕시코의 리튬 국유화,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
포스코에세이202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