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검색
검색창에 두 개 이상의 키워드를 넣어,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확인하세요. (예: 철강 이차전지소재)
"전기차" 검색결과 383건
-
포스코홀딩스 IR 유튜브 채널 오픈
지난 3월 2일 포스코홀딩스가 투자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자 ‘포스코홀딩스 IR’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포스코그룹의 핵심사업과 주요 사업 현장, 시장 현황을 정확하고 알기 쉽게 보여주는 포스코홀딩스 IR 유튜브 채널을 소개한다. 투자자들에게 포스코홀딩스의 7대
Business Story2023/04/10 -
인터배터리 2023에서 선보인 포스코퓨처엠의 ‘더 나은 소재를 향한 여정’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온 국내 최대의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이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진행되었다. 인터배터리는 2013년에 론칭한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로, 전 세계의 전동화 흐름에 따라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배터리 산업
Business Story2023/03/30 -
포스코퓨처엠, 연세대와 배터리소재 인력 육성 MOU
l 27일, 연세대와 석•박사 맞춤형 학위 과정 ‘e-Battery Track’ 운영 업무협약 체결 l 통섭형 인재 채용 등 ‘글로벌 탑 티어’ 우수인력 확보에 역량 집중 포스코퓨처엠이 배터리소재 우수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선다. 포스코퓨처엠은 27일 연세대와 ‘e-Battery
보도자료2023/03/27 -
포스코퓨처엠, 포항 NCA 양극재 3만 톤 규모 투자 승인
l 삼성SDI向 40조 원 공급 계약에 따라 NCA 양극재 전용 공장 첫 건설 l NCA양극재 글로벌 수요 증대 및 NCM·NCMA외 고객 및 제품군 다변화 l 상반기 착공해 2025년부터 생산 판매 예정…`23~`24년에는 광양에서 생산 공급 포스코퓨처엠이 NCA 양극재만을
보도자료2023/03/21 -
친환경 미래소재 기업 ‘포스코퓨처엠’ 공식 출범
l 20일, 주총에서 사명 변경 승인…사명선포식 갖고 100년 기업 새 미래 향한 의지 다져 l 제철보국 넘어 이차전지소재와 미래에 필요한 소재로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한다는 소재보국 다짐 l 김준형 사장은 대표이사로, 윤덕일 기획지원본부장은 사내이사 신규 선임 l 김진출 안전환경센터장
보도자료2023/03/20 -
포스코케미칼, 인터배터리 2023에서 양•음극재 풀 포트폴리오 선보여
l 국내 유일 양•음극재를 함께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고객 니즈와 전기차 고성능화 대응 위한 다양한 제품 소개 l 원료부터 소재생산 밸류체인 모형화, 차세대 소재 기술 로드맵 제시 등 사업 경쟁력 소개 포스코케미칼이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3’에
보도자료2023/03/15 -
[에너지 지식창고] ③ 염수에서 뽑는 백색 황금, 리튬
21세기에 들어 석유, LNG 같은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과 함께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발발로 에너지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 세계 각국은 자국 상황에 맞춰 에너지 공급망 강화를 위한 ‘자원안보*’에 주력하고 있다. 멕시코의 리튬 국유화,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
Business Story2023/02/24 -
포스코홀딩스, 인도네시아 이차전지용 니켈 사업 첫 발 내딛다
l 23일, 닝보리친社와 MOA 체결…세계 최대 니켈 보유·생산국 인니서 이차전지용 니켈 생산 협력 l 2025년부터 순 니켈 기준 6만톤 수준의 니켈 중간재(MHP) 생산 목표…전기차 120만대분 l 뉴칼레도니아, 호주에 이어 인니서도 공급망 구축…이차전지소재사업 글로벌 밸류 체인
보도자료2023/02/24 -
[궁금한 THE 이야기] ⑦ 환경보호에 달린 이차전지의 경쟁력
산업혁명 이후 약 260년간 오늘날 경제는 천연자원을 사용해 제품을 생산하고, 해당 제품을 소비한 후 매립이나 소각을 통해 단순 폐기하는 선형 경제 구조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자원 고갈, 환경오염, 폐기물 발생 지구온난화 문제를 야기했다. 지금 지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 이변에
Business Story2023/02/13 -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능력 확대
l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에 연산 1만 톤 규모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 2단계 착공 l 2024년 하반기 기존 1단계 공장 8천 톤 포함 총 1만 8천 톤 인조흑연 생산체제 구축 l 탈중국 소재 공급망 확대 등 증가하는 수요 대응 및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 포스코케미칼이 인조흑연
보도자료202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