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어는 최소 두 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철, 예술이 되다! ‘atomic number 26. Fe’ 전시 소개

철, 예술이 되다! ‘atomic number 26. Fe’ 전시 소개

2016/07/01

 

강은구, 해뜨기 전 11구역
강은구, 해뜨기 전 11구역

원자번호 26번, 원소기호 Fe로 명명되며 지구 중량의 35%를 차지하고, 인체에 3g 정도 포함되어 있는 영양소 ‘철’.

이 철을 미술의 언어로 재해석한 전시가 포항 포스코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데요. 바로 제17회 철의 날을 기념해 마련된 특별 기획전 ‘atomic number 26’입니다. 7월 15일까지 이어지는 이 전시에서는 철강산업의 도시인 포항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가공성, 내구성, 성형성 등 철의 다양한 특성을 활용한 현대 작가 8인의 작품 56점이 소개되는데요.

철의 특성이 인류에게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예술가의 감성으로 보여주기 위해 크게 점(點), 선(線), 면(面), 형(形)으로 구분해 기획되었다고 합니다.

Hello, 포스코 블로그에서는 이번 전시의 주요 작품들을 하나씩 살펴보며, 철의 다양한 면모를 엿볼까 하는데요. 지금부터 함께 보실까요?

철로 그린 풍경, 점(點)

유봉상, E20100525
유봉상, E20100525

점(點)에서는 철의 가공성을 살린 작품으로 붓과 물감 대신 철로 그린 풍경을 담은 유봉상, 예진영 작가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못의 작가’로 알려진 유봉상 작가의 작품은 몇 만개의 못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마치 액정 화면의 픽셀이나 점묘화처럼 점이 모여 선이 되고 다시 형태가 이루어지는 일종의 회화와 같은 작업물입니다.

유봉상 작가의 못 작품

유봉상 작가가 박아놓은 못들은 가까이에서 볼 때는 그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지만, 멀리서 보면 아름다운 풍경이 눈에 들어오죠. 작품을 만드는 과정도 독특한데요. 작가가 인상 싶게 경험한 풍경을 크게 출력해서 합판에 붙이고 그 위에 못을 박고 안료를 뿌린 다음, 못 머리를 그라인더로 갈아 내서 완성하게 됩니다.

작품 화면을 가득 채운 갈린 못은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흐름을 만들어 내고, 가까이 다가섰을 때 철의 물성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만지고 싶은 촉각을 자극하기도 하죠.

예진영, Sound-Wind
예진영, Sound-Wind

한국화를 전공한 예진영 작가는 비움과 충만을 상징하는 동양화의 여백에 매료된 후, 자연의 소리를 시각화하는 실험적 작품을 만들었는데요. 본래 붓으로 그림을 그리던 작가는 작업의 가장 기본단위가 되는 점(點)으로 금속(알루미늄) 조각을 선택해서 한 점 한 점 이어 붙이며 형태를 완성해 나갔다고 해요.

점으로 시작한 작업은 수직과 수평, 곡선과 직선을 만들고 평면에 입체감을 더하는데요. 이 입체감은 빛과 그림자 반사를 통해 기존의 회화와는 다른 의미와 느낌을 부여하게 됩니다. 시작과 끝이 없는 시간, 위와 아래가 없는 공간, 빛과 그늘에서 탄생한 색감을 추구한 그의 작품은 완만한 한국적 풍경을 닮아 있습니다.

철의 성형성을 살린 선(線)

송진수, 고흐의 방
송진수, 고흐의 방

선(線)에서는 철의 성형성 중에서도 연성을 살린 송진수 작가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공간 드로잉’이라고 표현되는 송진수의 작품은 철사를 소재로 구부리고 이어 붙여 만드는데요. 마치 허공에 드로잉을 해놓은 듯하며, 입체적인 회화를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 있으킵니다.

특히 이번에 설치한 고흐의 방은 하나의 덩어리자 선이고 그림자이자 조각이며 실제이자 허상에 가까운, 독특한 느낌을 자아냅니다. 그리고 이 사물들은 특정한 공간에서 무언극과 같은 상황을 연출하는데요. 개별 존재들은 별다른 의미를 지니지 못하고 서로 연결되어 문맥을 형성하거나 나름의 서사를 작동시킨다고 말해볼 수 있습니다.

평면이자 입체적인 철의 공간, 면(面)

강은구, 모두의 밤
강은구, 모두의 밤

면(面)은 금속 면제를 이용한 작품들로 구성했습니다. 강은구 작가의 작품은 철판을 오려내 팝업북처럼 만드는 기법으로 평면이며 입체의 형식을 가집니다. 주로 다루는 주제는 도시의 풍경으로 철판 사이사이에 LED를 삽입하여 도시의 어둠과 빛이 공존하는 밤 풍경을 그려내죠. 주로 어둡고 차갑게 느껴지는 금속의 질감이 LED 불빛과 함께 어우러져 따스한 도시 풍경을 만들어 냅니다.

정운식, Picasso
정운식, Picasso

금속 판을 볼트와 너트로 층층이 이어 붙여 얼굴을 만드는 정운식 작가의 작품은 2차원의 평면에서 시작해, 3차원의 공간을 만들어 가는데요. 우리들이 익히 알고 있는 유명인의 얼굴을 소재로 하는 그의 작업은 정면에서 봤을 때는 하나의 평면 회화 작업처럼 보이지만 측면으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보면 수직과 수평이 교차하는 설치 작업이 됩니다. 평면이면서 입체, 회화이면서 설치 작품이 되는 것이죠.

철의 특성이 집합된 덩어리, 형(形)

심병건, Pressed Drawing
심병건, Pressed Drawing

형(形)은 철의 다양한 특성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덩어리(形)를 표현한 작품들입니다. 심병건 작가의 작업은 유압식 프레스기로 철에 압력을 가해 구김과 펴짐 효과를 내어 만드는데요. 덕분에 단단하고 강한 철이 구겨진 종잇장처럼 보이게 되죠. 강한 성질을 가진 금속 소재가 더 강한 압박을 받은 한순간의 정지 상태를 포착한 작품은 압도하는 힘이 있고, 정지된 순간이 곧 풀려버릴 것만 같은 긴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김성석, 먼저들 가슈
김성석, 먼저들 가슈

김성석 작가는 철을 주조해 의인화된 동물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표현하는데요. 그저 덩어리에 지나지 않았을 철은 작가의 손을 거쳐 의미를 지닌 형태로 재탄생하게 되고, 작가의 감수성이 녹아들어 간 이야기들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형태를 탈바꿈한 철이 단단하고 강한 이미지를 털어내고, 말랑말랑한 이야기들을 잔뜩 묻힌 또 다른 형(形)이 된 것이죠.

이성민, Relation(미생)
이성민, Relation(미생)

이성민 작가의 작품은 철의 특성을 극대화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작품의 소재는 철과 함께 나무가 사용됩니다. 나무를 자르고 조각하여 완성된 작품은 나무의 특성을 버리고 철의 특성으로 위장하는데요. 반대로 철은 본연의 속성을 버리고 나무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전혀 다른 특성을 지닌 철과 나무는 각자의 특성을 버리고, 상대의 특성으로 위장하여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나무이며 철인지 그 구분을 모호하게 하죠. 무거울 것 같으면서도 가벼울 것 같은 모호함과 긴장감이 관람객을 착각 속으로 밀어 넣는 작품입니다.

지금까지 예술인이 바라본 ‘철’의 모습을 살펴 보셨는데요!
산업적 속성이 아닌 예술의 감성으로 다시 태어난 철의 모습이 새롭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

관련 글 보기

URL 복사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공유하기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