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박람회(World Expo) 2030년 개최 유치에 도전하는 우리나라 제2의 도시이자 대표적 무역도시인 부산! 2002년 월드컵, 아시안게임과 부산국제영화제 개최지로 자국민은 물론 전 세계의 관광객이 찾을 만큼 매력적인 도시이다. 부산이 2030 세계박람회 개최지로 선정될 경우 부산광역시 북항 일원에서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라는 슬로건을 걸고 2030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6개월간 열릴 예정이다. 일본의 오사카와 중국의 상하이가 각각 1970년 오사카 박람회, 2010년 상하이 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해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한 것처럼 2030 부산 세계박람회 개최를 통해 얻게 되는 경제적 성과와 유치 성공을 위해 발벗고 나선 포스코의 행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l 엑스포(Expo)란?
엑스포는 세계박람회기구(BIE)에 의해 공인된 행사로,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국제행사로 꼽힌다. 일반 시민의 교육, 국가 및 기업의 혁신과 협력 촉진을 위한 글로벌 대화의 장으로서 산업·과학기술 발전 성과를 소개하고 개최국 역량을 과시하는 경제·문화 올림픽이다. 특히 참가국들은 그간 이룬 과학·기술·문화적 성과와 새로운 미래상을 전시·연출해 자국의 총체적인 역량을 선보이는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엑스포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세계박람회기구(BIE)’로부터 개최권을 획득해야 하는데, BIE가 공인하는 엑스포는 등록엑스포(Registered Exposition), 인정엑스포(Recognized Exposition)로 나뉜다. 과거 개최된 바 있는 대전엑스포나 여수엑스포는 인정엑스포로, 등록엑스포 사이 기간에 한 번씩 열리는 중규모 전문박람회를 의미한다.
인정엑스포가 명확한 특정 주제로 한정해 최장 90일간 개최되는 것과 달리, 등록엑스포는 대규모 종합박람회로서 인류의 발전에 관련된 모든 주제를 다룰 수 있어 다양한 분야의 전시가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5년마다 최대 180일간 개최되며 전시의 규모가 무제한이다. 이중 가장 규모가 크고 대표적인 등록엑스포를 월드엑스포 또는 세계박람회라고 한다. 20세기 이전의 세계박람회가 산업혁신의 결과물을 보여주는 데 주력했다면 21세기에 들어서는 인류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고 미래의 발전 전망을 다루면서 점차 문명·문화를 교류하는 장으로 발전했다.
l 국가 대도약의 기회
많은 국가들이 엑스포를 개최하려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국가 브랜드를 향상하기 위해서다. 엑스포 부지 개발을 위해 각종 인프라를 구축하고 교통망을 확충하는 등 장기적으로 국가경제가 활성화되고 일자리 창출까지 동시에 이끌 수 있다. 따라서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다양한 국제 교류 및 국제 교역의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두 번째, 엑스포는 도시 재창조의 시작점이 되기 때문이다. 각종 사회간접자본을 확보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관광 촉진 및 지역주민의 의식수준 향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도시개발 촉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은 세계 10대 항만물류 도시이자 우수한 MICE 인프라와 관광시설이 돋보이는 곳이다. 또한, ‘세계 유일의 피란(避亂) 수도’라는 역사를 가져 등록엑스포가 지향하는 ‘인류 공동의 번영과 평화’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현재 2030년 엑스포 유치를 신청 도시는 부산을 포함해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 러시아의 모스크바, 이탈리아의 로마 등이다. 우리나라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제시하며 BTS, 오징어 게임 등 막강해진 K-콘텐츠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저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l 2030 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의의
2030 세계박람회가 부산에 유치될 경우, 대한민국이 전 세계에서 국제 3대 행사인 올림픽, 월드컵, 등록 엑스포를 모두 개최한 7번째 국가가 된다. 이를 통해 세계 10위권의 경제력 규모에 맞는 국격 제고의 기회도 맞이할 수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이 국민소득 1만 달러 시대, 2002년 한일 월드컵이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로 견인했다면 2030년 부산세계박람회는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를 여는 도약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적 파급효과도 올림픽과 월드컵에 비해 월등히 크다.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 관람객은 300만 명, 생산유발효과는 11조 5000억 원이었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관람객은 138만 명, 생산유발효과는 20조 5000억 원이었다. 엑스포는 개최 기간이 긴 만큼 기대되는 경제효과가 약 6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앞서 열린 행사들과 비교해도 규모가 얼마나 큰지 짐작이 가능하다. 또한 엑스포가 열리는 6개월간 200개국에서 우리나라 인구와 맞먹는 5050만 명이 부산을 방문할 것으로 추정돼 이로 인한 부가가치와 기업홍보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l 포스코의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지원 활동
포스코그룹도 올해 7월부터 태스크포스(TF)를 새롭게 발족해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부산엑스포 민간위원회 유치위원으로, 정탁 포스코 사장이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각 그룹사 리더들이 주축이 돼 해외 교섭 및 홍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지난 3월 알베르토 페르난데스(Alberto Fernández) 아르헨티나 대통령과의 면담 자리에서 이차전지소재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직접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지지를 요청한 데 이어, 정탁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9월 아르헨티나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산티아고 카피에로(Santiago Cafiero) 장관을 만나 다시 한번 ‘2030 부산세계박람회(EXPO)’ 유치 지원에 나섰다. 지난 5월과 6월에는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과 정탁 포스코 사장이 각각 우즈베키스탄, 멕시코의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세계박람회의 부산 개최에 대한 지지를 요청한 바 있다.
정탁 사장은 10월 9월부터 17일까지 부산세계박람회 민간위원회 집행위원 자격으로 한덕수 국무총리와 함께 중남미 3개국(칠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을 방문했으며, 14일(현지시간)에는 다시 한번 아르헨티나를 찾아 유치 지원 활동을 펼쳤다.
포스코그룹은 아르헨티나 수도인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의 공원, 은행, 공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홍보 배너를 설치해 자국민은 물론 해외 방문객들에게도 대한민국의 부산엑스포 유치 의지를 널리 알려 높은 관심과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포스코그룹의 주요 교섭 국가인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우즈베키스탄, 칠레 등 7개국에 유치사절단을 적극 파견해 유치 지원 강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 8월 조승현 포스코인터내셔널 면방법인장은 한-우즈벡 수교 30주년을 맞아 우즈베키스탄 현지를 직접 방문해 엑스포 유치를 위한 홍보활동을 적극 전개했으며, 김경한 포스코 무역통상실장이 베트남 문체부 대외협력청장과 만나 유치 지원 활동을 펼쳤다.
포스코는 세계박람회 유치 관련 우리나라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홍보활동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현재 포항·순천역 전광판과 KTX 객실 내에 부산엑스포 유치를 응원하는 광고를 송출하고 있으며 포스코 복합문화공간 Park1538의 홍보관, 역사박물관, 웰컴센터 등에 홍보 자료를 비치하고 포항 스틸러스와 전남 드래곤즈 구장에도 유치 광고를 게재하는 등 자체 인프라를 활용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부산세계박람회 알리기에 앞장서고 있다.
1851년 선보였던 증기기관차가 지하철, 고속열차, 자기부상열차으로 발전하고, 1876년 전화기가 지금의 스마트폰으로 발전한 것처럼 이번 개최되는 엑스포에서는 어떤 신기술이 소개될지 기대가 높다. 획기적인 기술이 공개되는 중요한 행사를 국내 부산에서 개최한다면 그 의미가 더 클 것이다. 이제 내년이면 2030 월드엑스포 개최지를 선정하는 만큼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정부와 각 기업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국민들의 높은 관심 수준이 필요한 때이다. 엑스포 유치를 위해 바쁘게 노력하는 모든 분들께 박수와 성원을 보내며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성공을 포스코가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