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어는 최소 두 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포스코미술관] 2023 개인 초대전 : 빛과 바람으로 만나다

[포스코미술관] 2023 개인 초대전 : 빛과 바람으로 만나다

2023/05/26

[2023 포스코미술관 초대 개인전] 빛과 바람으로 만나다, 생명의 찬가

포스코미술관이 5월 26일부터 6월 28일까지 <Resilience: 생명의 찬가-빛과 바람으로 만나다>展을 개최한다. ‘생명의 회복력’을 모티브로 하는 권치규 작가의 작품세계를 통해 인간 내면의 회복 탄력성을 발견해보자.

Resilience: 생명의 찬가-빛과 바람으로 만나다 전에 관한 소개다. 이번 전시회는 5월 26일(금)부터 6월 28일(수)까지 진행되며 5월 29일, 6월 5일, 6월 6일에는 휴관한다. 장소는 포스코미술관이며 관람시간은 평일 10시부터 18시, 주말 11시부터 16시이다. 참여 작가는 권치규, 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수다.

포스코미술관 2023년 첫 번째 초대 개인전의 주인공은 평면과 입체, 설치를 넘나들며 폭넓은 표현 영역을 선보이는 권치규 작가다. 그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재료로 자연이 가진 곡선과 유기적 모습을 담은 숲을 형상화하는 작업을 주로 해왔다. 드로잉, 회화, 조각 작품 등 20여 점으로 구성된 <Resilience: 생명의 찬가-빛과 바람으로 만나다>展은 총 5개의 섹션에서 각 키워드(‘미루나무’, ‘내면의 숲’, ‘긍정의 숲’, ‘미래의 숲’, ‘히스토리’) 아래 자연을 주제로 한 다양한 작업을 선보이며, 2023년 제작된 신작까지 공개해 권치규 작가의 작업세계를 총망라하고 있다.

 

작가 권치규가 말하는 숲은 무엇일까.

자연이 가진 힘과 에너지를 내포한 숲의 이미지를 작품으로 구현하고, 인간의 내면에도 자기회복력이 있음을 깨닫도록 독려해온 작가 권치규. 그는 끊임 없이 순환하는 자연의 섭리와 질서를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연결해 “인생의 고난은 삶의 한 흐름이며, 자연의 일부인 인간에게도 내재된 회복탄력성을 통해 시련을 딛고 전진하면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성장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작가노트에는 이렇게 적혀있다. ‘회복 탄력성’, 아주 재밌는 말을 찾아냈다. 나의 작업을 대변해 말하기에 아주 적당한 말이다. (…) 밑바닥에 떨어져서도 우리는 다시 재기의 희망을 본다. 심지어 물도 자리를 내주었던 것이 떠나면 다시 그곳을 채운다. 부정과 해체, 억압의 힘은 꼭 그만큼의 반대급부의 힘, 즉 긍정, 생성, 자유의 힘을 만들어낸다. 그것은 일종의 리듬이다. (…) 궁극적으로 나에게 있어 욕망은 위기나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인간에게는 잠재된 에너지로서의 긍정의 힘, 즉 회복 탄력성이 있음을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함이다.

자연에서 시작된 그의 여정은 숲과 만나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된다. 숲의 재생력과 복원력을 작가만의 조형 언어로 표현한 작품을 감상하며 도시 생활로 인해 멀어진 자연과의 교감을 회복하고 상실된 삶의 정서를 되찾길 바란다.

아래에는 Resilience: 생명의 찬가-빛과 바람으로 만나다 전시회 작품이 놓여있다. 순서대로 작품 BIO-RESILIENCE-UNIVERSE이다. 크기는 2,040 X 2,040 X 500(H)mm이다. 스테인리스스틸에 우레탄 페인트를 사용했고 2020년 작품이다. 아래는 작품 반딧불이다. 크기는 800 X 240(D) X 90(H)mm, 1,000 X 295(D) X 100(H)mm 두 가지가 있다. 테인리스스틸에 우레탄 페인트를 사용했고 2023년 작품이다. 작품 아래는 RESILIENCE-LIGHT & WIND이다. 크기는 3,000 X 8,000 X 2,400(H)mm이다. 아크릴플레이트와 LED를 사용했고 2023년 작품이다. 아래는 작품 RESILIENCE-미래의 숲(Infinity Space)이다. 크기는 4,000 X 8,000 X 3,000(H)mm이고 스테인리스 스틸, 레진, 우레탄페인트, LED를 사용했다. 2023년 작품이다.

아래에는 김윤섭(미술사 박사)의 작품 평론이 실려있다.

보여주는 형식은 달라도 작품에 담긴 메시지나 주제는 일관되어 있다. 권치규 작품의 중심 키워드는 ‘Resilience’이다. ‘Resilience’라는 단어의 사전적 해석은 ‘탄성(elasticity), 탄력, (원기의) 회복력, 쾌활성, 발랄함(buoyancy)’ 등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권 작가는 ‘회복력’의 개념에 무게를 두고 있다. 무엇으로부터 회복일까? 바로 ‘무한하게 반복되고 순환하는 생명의 회복 능력’이다. 그 생명력의 원천을 자연으로부터 찾고 있다. 그래서일까, 권치규의 작품에 직접적으로 드러난 형상은 자연미를 테마로 한 것이 중심을 이룬다. 가령 나무의 형상대로 투각(透刻)된 스테인리스 스틸 판을 겹겹이 쌓아 숲처럼 연출한다든지, 신비로운 빛의 방을 꾸며 상상 그 이상의 자연에 대한 인상을 체감하도록 안내한다.

차가움의 대명사인 금속 재료마저 더없이 따뜻하고 부드러운 감성을 자아낼 수 있는 것은 권치규 조각의 또 다른 매력이다. 한 편의 감미로운 서정시부터 웅장한 파노라마의 대서사시까지 서로 다른 영역을 품고 있는 작품세계의 조화로움이 돋보인다. 권치규의 작품은 자연을 모티브로 삼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내면에 잠재된 회복탄력성’을 새롭게 재인식하자고 주문하고 있다. 무한한 시공간을 품고 있는 숲의 형상이나, 영원히 소멸하지 않는 생명성의 회복력은 인간이 꿈꾸는 가장 숭고한 이상일 수 있음을 가시화한 작품들이다. 결국 권치규의 투조(透彫) 작품들은 생명의 빛을 모으는 창이고, 그 창으로 또 다른 열린 미지의 세계로 인도하고 있다.

-김윤섭(미술사 박사) 평론글 중 발췌

권치규 화가에 대한 정보가 적혀있다. 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권치규는 2011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1999년 성신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1992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했다. 주요 전시회에는 개인전 부산조각페스타, BEXCO, 부산 한중일 미래융합 페스티벌,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 순천 Bio-Resilience, 본화랑, 서울 권치규 개인전, 아트스페이스 H, 서울 권치규 개인전, DELLA-PAGE GALLERY, 일본 외 다수가 있으며 총 27여 회다. 그룹전에는 ARTIFICIAL NATURE, 청주시립미술관, 충북 평창비엔날레, 평창, 강원 창원비엔날레, 창원, 경남 한중교류전, 북경, 중국 고양조각가협회전, 고양, 경기 외 다수가 있다. 총 270여 회다. 주요 수상 내역에는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한국예술평론가협회 특별예술가상, 마니프 서울 국제아트페어 우수작가상, 대한민국 미술대전 조각부문 대상 외 다수가 있다.

관련 글 보기

URL 복사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공유하기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