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어는 최소 두 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2019년 포스코 경영실적 분석해보니…“어려웠지만 자리지켰다”

2019년 포스코 경영실적 분석해보니…“어려웠지만 자리지켰다”

뉴스룸 편집팀 2020/01/31

2020년 새해 들어서도 철강 경기는 여전히 매섭다. 전후방산업 시황에 의해 운명이 점쳐지는 철강산업. 세계 경기사이클(Business cycle)에 따라 철강산업도 하향곡선 구간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철강사가 똑같은 실적을 내놓는 것은 물론 아니다. 철강사들에 주어진 같은 환경, 그러나 다른 성적표.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에 10년째 이름을 올리고 있는 포스코는 어땠을까. 2019년도 성적표를 글로벌 철강사들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2020년 예견되는 난관들을 어떻게 헤쳐나갈 것인지 뉴스룸이 정리했다.


l ‘털썩’ 내려앉은 글로벌 철강사 2019 실적… 포스코는 ‘안정적’

불과 2년 전인 2017년, 글로벌 TOP 철강사(포스코, 일본제철, ArcelorMittal, Baoshan, US-Steel)들의 영업이익률은 평균 6.0% 후반대를 기록했다. 포스코를 비롯해 ArcelorMittal과 Baoshan은 7% 후반 이상의 이익률을 보여줬다. 2018년에는 그보다 상승세를 타면서 많게는 10%대를 기록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2019년, 글로벌 공급 과잉 심화, 미중 무역분쟁이 불러온 악재가 쌓이며 글로벌 철강산업은 위기를 맞았다. 실적을 통해 각 사별 위기 관리 경영의 실체가 고스란히 드러났는데, ArcelorMittal의 경우 2018년 2분기 11.8%였던 영업이익률이 2019년 2분기에 와서는 -0.8로 수직 하락했고 3분기에도 회복되지 못했다. Baoshan역시 2018년 3분기 10%대의 영업이익률을 보였지만, 2019년에 3분기에 와서는 4.9%로 반 토막이 났다. 일본제철도 몇 년째 4%대 이하의 영업이익률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철강사들의 이익률 추이를 그래프로 놓고 보면, 우하향 곡선이 더욱 눈에 띈다.

세계 주요 철강사 영업이익률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로 POSCO는 다른 세계 철강사에 비해 완만한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 <세계 주요 철강사 영업이익률 추이> POSCO는 2017년7.6% 2018년1분기9.4% 2018년2분기7.8% 2018년도3분기9.3% 2018년4분기7.6% 2019년1분기7.5% 2019년2분기6.5% 2019년3분기6.5%으로 완만한 그래프를 보이고 있으며, Baoshan는 2017년9.0% 2018년1분기9.9% 2018년2분기9.9% 2018년3분기10.7% 2018년4분기6.9% 2019년1분기5.6% 2019년2분기5.6% 2019년3분기4.9%까지 하락한다. A-Mittal 또한 2017년8.2% 2018년1분기8.2% 2018년2분기11.8% 2018년3분기8.5% 2018년4분기5.7% 2019년1분기4.0% 2019년2분기-0.8% 2019년3분기1.8%로 하락하며 US-Steel도 2017년5.2% 2018년1분기4.4% 2018년2분기8.3% 2018년3분기10.0% 2018년4분기8.5% 2019년1분기3.2% 2019년2분기3.2% 2019년3분기-2.6%까지 하락한다. 일본제철 또한 2017년4.5% 2018년1분기2.9% 2018년2분기3.9% 2018년3분기1.2% 2018년4분기4.0% 2019년1분기2.3% 2019년2분기2.3%로 하락했다.

▲ 출처 : 블룸버그  및 각사 IR 자료

그 와중에 같은 환경 속에서도 완만한 그래프를 그리는 곳이 포스코다. 포스코 역시 앞서 살펴본 외부요인, 즉 자동차 등 주요 수요산업의 침체, 원료가 급상승 등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매 분기 이익률이 소폭 감소하는 추세긴 하나, 타 철강사들의 감소 폭과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양새다. 더욱이 2019년에 들어서는 영업이익률 1위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철강사들의 상황은 주가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2018년 말 주가를 ‘100’으로 놓고, 2019년 말 주가와 비교하면 대부분의 철강사가 감소세를 보였다. 일본제철, ArcelorMittal, Baoshan 모두 작년 말과 비교해 12~13% 감소했다. US-Steel은 40%에 가까운 하락세에 놓였다. 그러나 포스코는 3% 하락에서 그쳤다. 자본시장에서의 기업가치 평가에 큰 흔들림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세계 주요 철강사 주가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세계 철강사 주가 하락에 비해 POSCO는 큰 흔들림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세계 주요 철강사 주가 추이> 2018년 말 주가를 '100'으로 놓고, 2019년 말 주가와 비교하면 POSCO 3% Baoshan 12% A-Mittal 13% US-Steel 38% 일본제철 13% 하락을 보이고 있다.

▲ 출처 : 블룸버그, 매월 말일 기준

l 2019 포스코, 어려웠지만 위기 대응력 빛났다

2019년 포스코의 연결기준 영업이익률은 6.0%다. 철강부문 별도로는 8.5%를 기록했다(2019년도 포스코 경영실적 보도자료 바로가기). 잇따른 악조건 속에 전년비 저조한 실적이나, 글로벌 TOP 철강사들과 견주어보면 경쟁력을 잃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밀마진 압박 속 주요 경쟁사들이 하나둘씩 감산(減産)을 이어가는 와중에도 포스코는 국내 조강생산량을 3천8백만 톤 수준으로 유지하고, 또 판매량도 전년보다 40만 톤 늘린 3천5백99만 톤을 달성했다.

포스코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전년비 1조 2천억 원이 감소했다. 철강 제조원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철광석 가격이 지난해 급등했고, 제품 판매 가격은 하락하여 영업이익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조건이었기 때문. 포스코는 이 악조건을 타개하기 위해 WTP(World Top Premium) 제품 판매량을 확대하고 재료비, 전력비 등을 감축하며 영업이익 감소 폭을 줄였다.

포스코 경영실적을 나타낸 그래프와 포스코 영업이익(별도)증감 분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단 왼쪽 <포스코 경영 실적(연결기준)> 매출액은 2017년도 60조6천551억원 2018년도 64조9천778억원 2019년도는 64조3천668억원이고 영업이익은 2017년도 4조6천218억원 2018년도 5조5천426억원 2019년 3조8천689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2017년도 7.6% 2018년도 8.5% 2019년도는 6.0%를 기록했다. 상단 오른쪽 <포스코 경영 실적(별도기준)> 매출액은 2017년도 28조5천538억원 2018년도 30조6천594억원 2019년도 30조3천735억원이며 영업이익은 2017년도 2조9천25억원 2018년도 3조8천94억원 2019년도 2조5천864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2017년도 10.2% 2018년도 12.4% 2019년 8.5%를 기록했다. 하단에 2018년도 2019년도 영업이익(별도)증감 분석을 나타낸 그래프가 있다. * 포스코 영업이익(별도)증감 분석 2018년도 영업이익은 3조8천94억원이었는데 판매가하락/생산량 감소로 4천730억원이 감소했으며 원료가 상승으로 1조254억원이 감소했다. 그러나 판매량 증가로 390억원 비용감소로 2천364억원증가시켜 2019년도 매출액 2조5천864억원으로 전년비 1조2천230억원으로 감소를 했다.

수요산업 침체, 원료가격 상승, 철강 공급 과잉, 무역 분쟁… 주어진 환경만 놓고 본다면 철강업의 위기는 ‘운명’처럼 보인다. 그러나 앞서 두 지표를 통해서 볼 수 있듯, ‘같은 환경, 다른 성적표’를 받은 포스코는 그만의 위기 극복 비결이 따로 있다.

l ‘같은 환경, 다른 성적표’… 포스코만의 위기 극복 비결

(1) ‘급’이 다른 세계 최고·최대 일관제철소의 위용… 스마트화까지

포스코는 조강생산량 기준 세계 최대 단일 제철소 1, 2위를 모두 보유하고 있다. 광양제철소와 포항제철소는 매년 각각 2,100만 톤, 1,600만 톤 이상을 생산하는 메머드급 일관 제철소다. 특화된 포트폴리오에 따라 광양제철소는 초고강도강판 ‘기가스틸’ 등 자동차강판 중심의 제품 생산을, 포항제철소는 다품종 소량생산을 중심으로 가동된다.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에 의한 효율과 생산성 확보가 남다르지만, 포스코 제철소의 ‘급’이 남다른 데에는 스마트팩토리 경쟁력도 한몫한다. ‘AI용광로’를 필두로 한 포스코의 제철소 스마트화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강점으로 자리 잡았다.

포스코는 2019년 7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다보스포럼)이 뽑는 등대공장(Lighthouse Factory)에 국내 기업 최초로 선정됐다(관련기사보기). 2016년 이래 포스코는 Big Data·AI 등의 기술을 도입, 스마트과제 321건을 추진하여 작년까지 2,500억 원의 원가절감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더 나아가 이렇게 확보한 포스코 고유의 스마트팩토리 기술력을 국내 중소기업에 전파하며 대한민국 제조업의 강건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포스코는 2020년에도 포스코만의 Domain Knowledge를 기반으로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고도화하여 원가, 생산성, 품질, 설비장애, 안전 등 모든 지표를 혁신해 나갈 방침이다.

(2) 월드클래스 기술력, WTP 제품으로 승부수

중국 등 신흥국의 본격적인 철강업 확장으로 인해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철강재’로는 이길 수 없는 경쟁이 시작됐다. 이에 포스코는 2014년부터 일찌감치 ‘WTP(World Top Premium)’ 제품으로 승부수를 띄웠다.

포스코 철강 판매량과 WTP판매비중을 나타낸 년도별 그래프. <2019 포스코 철강 판매량,WTP판매비중> 판매량은 2017년 3천만4백7십만9천톤 2018년도는 3천만5백5십8만8천톤 2019년도 3천만5백9십9만천톤으로 매년 증가하였고, WTP판매비는 2017년 30.4% 2018년28.8% 2019년 29.7%를 기록하였으며 WTP판매량은 2017년 9백8십7만7천톤 2018년 9백6십1만2천톤 2019년 1천만십1만천톤으로 전년도 보다 증가하였다.

▲ WTP 판매비 산출 시, 반제품 및 주문외 상품은 제외

WTP제품은 시황에 상관없이 일반강 대비 안정적인 영업이익률을 확보할 수 있고, 미래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성, 시장성, 수익성이 우수한 제품이다. 고객이 원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맞춘 WTP제품에는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된다. 포스코의 마케팅, 생산, 연구소 등 전사 부서는 WTP 제품 개발과 판로 확대를 위해 팀을 꾸려 지역과 국가를 막론하고 필드 영업을 펼친다.

WTP 제품의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해, 2019년에는 1천만 톤을 넘어섰다. 포스코는 2020년에도 WTP 제품을 포스코 철강 수익 창출력의 중심으로 놓고, 프리미엄 전략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3) 어려울수록 빛나는 위기대응력… Cost Innovation 2020 지속 추진

독보적인 기술력과 더불어 포스코의 위기대응력이 빛을 발한 부분은 극한의 원가절감 활동이다. 포스코는 2019년 1월부터 CI2020(Cost Innovation 2020)을 전사적으로 추진해왔는데, 당초 도전적인 목표였던 연간 2,300억 원 원가절감을 3분기만에 달성해내며 강력한 내부 결집력을 보여줬다. 특히 직원의 복리후생을 위한 비용은 감축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인 원가절감을 이뤄냈다는데 의미가 더 크다. 포스코는 CI2020을 올해도 힘 있게 추진하면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법인에도 본사 노하우를 전수해 원가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4) 철강 외 글로벌인프라 사업의 선전

철광석 가격 급등에 의한 제조원가 상승, 반면 수요산업 침체로 인한 판매가 하락. 다시 말해, ‘밀마진’이 대폭 축소되는 위기는 글로벌인프라 사업부문의 선전으로 일정 부분 만회됐다.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 포스코그룹은 글로벌인프라 사업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업구조 재편을 시행했다. 그 결과, 2017년 9,953억 원이었던 그룹 글로벌인프라 부문의 영업이익은 2018년 10,329억 원, 2019년 11,804원으로 지속 상승했다.

포스코그룹 글로벌인프라 사업 영업이익 추이를 나태낸 표. <포스코그룹 글로벌인프라 사업 영업이익 추이> 2017년도 9천953억원 2018년도 1조329억원 2019년도 1조1천804억원으로 영업이익이 매년 증가하였다.

▲ 포스코그룹의 Trading, E&C, 에너지, ICT 부문 합계

특히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얀마가스전 생산 및 판매 호조로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는데, 작년 3천853억 원의 영업이익이 올해 5천682억 원으로 47% 수직 상승했다. 포스코에너지도 올해 2월부터 인천LNG복합발전소 3호기의 원료를 미국산 셰일가스로 직도입 하기 시작하면서 원가경쟁력을 강화했고, 이는 고스란히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졌다. 포스코에너지의 영업이익은 2018년 235억 원에서 2019년 1,209억 원으로 고공행진했다.

포스코그룹은 LNG미드스트림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포스코,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에너지 간의 LNG 사업구조의 재편하여 그룹차원의 글로벌인프라 사업 시너지가 가시화되면서 철강 위기를 만회해주었다는 것을 표로 나타내고 있다. <2019 포스코그룹 글로벌인프라 사업 주요 실적>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얀마가스전 생산 및 판매 호조로 최대 영업이익 달성. 매출액은 23조3천88억원에서 22조7천437억원으로 감소하였으나 영업이익은 3천853억원에서 5천682억원으로 증가하였다. 가스판매량은 1천443억ft³에서 2천162억ft³으로 증가했다. 포스코에너지는 인천3호기LNG직도입, 원가 경쟁력 강화로 영업이익 증가. 매출액은 1조8천412억원에서 1조8천15억원으로 감소하였으나 영업이익은 235억원에서 1천209억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렇게 영업이익을 낼 수 었었던 것은 LNG탐사.생산(E&P)>>트레이딩+벙커링>>LNG터미널>>LNG발전의 LNG Valie Chain강화 했기 때문이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4월 그룹 내 LNG미드스트림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포스코,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에너지 간의 LNG 사업구조의 재편을 결정(관련기사보기)했다. 그룹차원의 글로벌인프라 사업 시너지가 가시화되면서 철강 위기를 만회해주는 빛을 발했다.


2020년에도 철강 경기가 장밋빛이 아님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 이러한 위기 앞에 선 포스코의 각오도 남다르다. 세계 등대공장,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 포스코의 저력이 올 한 해도 이어질 수 있을지 기대해본다.

URL 복사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공유하기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