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과 협력해 AI기반 ‘로드킬’ 예방 및 모니터링 시스템 적용
I 산업현장 적용해온 AI기술로 야생동물 및 운전자 보호 기여
I 포스코그룹 시너지공헌활동·포스코1%나눔재단 기금 활용해 그룹 차원의 사회공헌 활동 추진
포스코그룹이 환경부와 협력해 영상인식 AI 기술을 적용한 ‘동물 찻길 사고 예방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해 현장 적용을 완료하고, 9일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포스코그룹의 다양한 역량을 모아 복잡한 사회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는 ‘세포시(세상을 바꾸는 포스코그룹 시너지공헌활동)’와 포스코1%나눔재단의 기금을 활용해 추진하는 그룹 차원의 사회공헌 활동으로, 제철소 등 산업현장에 적용되던 AI기술을 야생동물 및 운전자 보호 등 인도적인 측면에 활용할 수 있게된 데 의미가 크다.
포스코DX(대표 심민석)가 개발한 ‘동물 찻길 사고 예방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로 구간에 AI 기반의 스마트 CCTV와 라이다(LiDAR) 센서를 설치하여 도로상에 출현한 야생동물을 감지하고, 영상인식 AI로 판독∙분석해 해당 구간을 지나는 운전자들에게 LED 전광판으로 도로 상황을 실시간 알려줌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포스코DX는 지난해 7월,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과 함께 도로에서 발생하는 동물 찻길 사고를 저감하고자 업무 협약을 맺고, 로드킬 사고가 빈번한 경기도 양평군 일반국도 6호선 일대와 오대산 국립공원 진고개 부근 2개소에 관련 시스템을 적용했다.
특히 포스코DX의 ‘AI를 활용한 동물 찻길 사고 예방 시스템’ 은 지난 연말 환경부와 국토부가 수립한 ‘제3차 동물 찻길 사고 저감대책(2025~2027)’ 에 반영되기도 했다. 기존에는 야생동물 도로 진입 방지 펜스나 유도 울타리, 야생동물 출몰 표지판 등을 활용해 동물 찻길 사고를 감시했다면, 앞으로는 AI 기술을 활용해 더욱 고도화된 예방책을 추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번 양평 국도에 이어 올해 횡성, ’26년 남원 등 총 3개 구간에 관련 시스템을 단계별로 확대 설치 후 ‘27년까지 실효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포스코DX는 이번 시스템에 야생동물의 종류, 출현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딥러닝하여 CCTV 영상에 포착된 객체(Object)와 행동(Action)을 자동으로 탐지 및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출몰 가능성까지 추정하여 예고하는 기능도 구현해 적용했다. 특히 오대산에는 라이다 전문기업 아이요봇(대표 이계동)의 라이다 센서를 적용해 3D기반의 동물 감시 체계를 갖추기도 했다.
엄기용 포스코DX 경영지원실장은 9일 준공식을 통해 “산업현장에 주로 적용해온 AI 기술을 활용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운전자 보호를 지원할 수 있게 되어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시스템이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동물 찻길 사고 예방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도로에 출현한 고라니들을 감지하고 있다

▲양평군 6번 국도변에 설치된 LED전광판을 통해 야생동물 감지 현황을 표시하고 있다.

▲동물 찻길 사고 예방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