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어는 최소 두 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포스코, 이차전지 핵심소재 기업으로 거듭난다

포스코, 이차전지 핵심소재 기업으로 거듭난다

2018/05/29

ㅣ포스코ESM, 광양에 추가 생산거점 확보…2022년부터 연간 2조 원 이상 매출 기대
ㅣ포스코그룹, 니켈, 리튬, 음ㆍ양극재 등 미래 신성장 사업간 시너지 전망

포스코가 이차전지 핵심소재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포스코는 29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과 양극재 공장을 건설할 부지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부지 규모는 165,287.3㎡(약 5만 평)로 포스코는 이번 양극재 공장 증설을 위해 지난 11일 이사회에서 포스코ESM에 1,130억 원을 증자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포스코는 이 부지에 2019년까지 연산 6,000톤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2022년까지 5만 톤 생산체제로 확대할 예정이다. 포스코ESM 구미공장 1만 2,000톤 생산능력을 포함하면 연간 생산규모는 총 6만 2,000톤에 이르게 된다. 이는 전기차 약 100만 대 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이다.

포스코는 광양 양극재 공장 증설이 완료되는 2022년부터 매년 2조원 이상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음극재 공급사인 포스코켐텍에 이어 포스코ESM이 향후 국내 최대 양극재 공급사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는 현재 8,000톤 생산규모인 구미공장에 4,000톤을 증설하기로 했지만 1만 2,000톤 규모로는 급증하는 이차전지 수요를 감당할 수 없어, 양극재의 핵심 원소재인 리튬의 생산시설인 PosLX 공장이 있는 광양에 추가 생산거점을 확보하기로 했다.

양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ESM 구미공장의 소성공정 라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ESM 구미공장의 소성공정 라인

광양 양극재 공장 건설에 이어 포스코는 지난 2월 호주 필바라社와의 공급계약을 통해 확보한 리튬정광을 원료로 하는 연산 3만 톤 규모의 리튬 공장을 광양 양극재 공장 인근에 2020년까지 건설하고, 바로 뒤이어 2만 톤 규모의 니켈 공장도 건설해 이 지역을 이차전지소재 콤플렉스(Complex, 복합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이차전지소재 콤플렉스를 구축함으로써 원소재인 리튬, 니켈과 양극재 공장 간 공정 단순화 및 물류비 절감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의 제조공정상 구성요소 및 산출물. 푸른색으로 표시된 영역은 포스코가 미래 신성장 사업으로 추진 중인 사업 구성요소 전구체(코발트, 니켈, 망간으로 구성) + 리튬 산출물 양극재 구성요소 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질 = 산출물 리튬이온전지

이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의 제조공정상 구성요소 및 산출물. 푸른색으로 표시된 영역은 포스코가 미래 신성장 사업으로 추진 중인 사업이다.

 포스코그룹, 이차전지 핵심소재를 미래 신성장 사업으로

포스코는 이미 그룹사 차원에서 이차전지 핵심소재를 미래 신성장 사업으로 지속적으로 육성해왔다.

이번에 공장부지를 매입한 포스코ESM은 포스코가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을 겨냥해 보광그룹과 제휴해 2012년 설립했다. 포스코ESM은 지난해 니켈 함량이 80% 이상인 고용량 양극재 PG(Posco Gradient)-NCM(Nickel Cobalt Manganese) 양산 기술을 개발해 LG화학 등 국내 주요 배터리사에 공급하는 등 국내 최대 양극재 생산기업으로 성장했다.

포스코켐텍은 2011년 음극재 국산화를 목표로 사업에 뛰어든 이래 메이저 배터리 업체들로부터 품질과 생산능력을 인정받아 지난 2월 세종시 전의산업단지에 공장을 증설해 연 1만 6천 톤 규모의 생산체제를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또한 포스코켐텍은 천연계 원료에 비해 배터리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인조흑연계 음극재 사업도 추진하고 있는데, 자회사 피엠씨텍으로부터 침상코크스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음극재의 원료가 되는 고용량, 고품질의 인조흑연도 생산이 가능해져 관련분야의 사업 시너지가 예상된다.

포스코의 경우 2010년에 자연증발 방식보다 획기적인 고유의 리튬 직접 추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포스코는 이후 7년간 기존의 추출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한 PosLX 기술을 완성해 지난 2월 광양에서 국내 처음으로 탄산리튬을 상업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지난 4월에는 수산화리튬도 생산하기 시작해 두 제품 합계 연 2,500 톤 규모의 리튬 양산 체제를 구축해 포스코ESM 및 국내 주요 배터리 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또한 포스코는 지난 1월 중국 화유코발트社와 양극재 및 전구체 생산공장 합작 계약을 체결했으며, 3월에는 칠레 양극재사업자로 최종 선정되는 등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이차전지 핵심소재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포스코그룹 이차전지 핵심소재  국내 사업 현황 생산소재 posco 리튬(탄산·수산화리튬) posco포스코켐텍 음극재 posco포스코ESM 양극재 공장위치 posco 전남광양 포스코켐텍 충남세종 포스코 esm 경북구미 공장준공 2017년2월, 2011년 11월, 2012년 3월(법인설립)* 생산규모 2,500톤 16,000톤 8,000톤 추가증설계획(연도) 30,000톤(~2020) 8,000톤(-2018) 54,000톤(~2022) *포스코와 보광그룹 계열사 휘닉스소재가 합작법인 '포스코ESM'법인 설립

<포스코그룹 이차전지 핵심소재 국내 사업 현황>

관련 글 보기

URL 복사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공유하기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