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어는 최소 두 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세계가 주목한 인천국제공항 BHS, 포스코DX 기술로 더 높이 날다!

세계가 주목한 인천국제공항 BHS, 포스코DX 기술로 더 높이 날다!

2025/08/04

인천국제공항이 수하물처리시스템(Baggage Handling System·BHS) 확장 4단계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이로써 인천국제공항은 4개의 활주로를 기반으로 연간 60만 회의 항공기 운항과 1억 600만 명의 승객, 630만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시설을 갖추게 되었는데요. BHS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땀과 기술을 더해온 포스코DX의 스토리, 지금 함께 만나보시죠!


BHS는 무엇인가요?

BHS는 승객의 수하물을 체크인 카운터에서 항공기까지 자동으로 운반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수하물이 잘못 분류되거나 분실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공항 운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죠. 수하물을 빠르고 안전하게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공항 물류의 심장’이라고도 불립니다.

 

포스코DX의 28년 대장정

포스코DX는 1996년 인천국제공항 BHS 1단계 사업부터 최근 준공한 4단계까지, 무려 28년에 걸쳐 진행한 BHS 구축 전 과정에 참여해 왔습니다. 설비 구축에 필요한 전기, 제어, IT 인프라 등에 포스코DX의 기술이 적용됐죠.

차로 영종도를 건널 수 없어 배로 출퇴근했던 시절부터, 4㎞가 넘는 현수교인 영종대교가 연결되고, 이제 막 구축을 시작한 인천국제공항이 세계 최고의 공항이 되기까지 긴 시간을 포스코DX도 함께했습니다.

BHS는 국내 최초, 최대의 물류 인프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우리에게 익숙한 온라인 배송이 대중화되기 훨씬 전부터 분류, 정렬, 이송 등 물류 전반에 걸치는 과정을 설계하고 구축했습니다.

인천국제공항은 올해 국제공항협의회(ACI)가 주관하는 고객 경험 서비스 평가에서 3년 연속 최고 등급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서비스 1등 공항’이라는 고객들의 평가를 세 차례 연달아 받은 건 세계에서 인천국제공항이 유일하다고 하는데요. 그 배경에는 BHS 시스템의 우수성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원활한 수하물 시스템으로 여객들의 대기 시간이 짧고, 분실 수하물이 적은 덕에 기분 좋은 여정을 보낼 수 있었던 것이죠.

불과 몇 년 전 팬데믹이 끝났을 무렵, 런던 히스로, 암스테르담 스키폴, 파리 샤를 드골 공항 등은 급격히 늘어난 공항 이용자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해 분실 수하물이 속출했는데요. 이와 비교하면 인천국제공항의 뛰어난 BHS 기술력은 세계에서 인정받을 만하지 않나요?

이번 4단계를 통해 인천국제공항 BHS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총 연장 길이가 기존 141㎞에서 43㎞ 늘어난 184㎞인데요. 이는 서울-강릉 직선거리인 170㎞보다 더 길다고 해요.

하루에 BHS 컨베이어 벨트 위를 지나는 수하물은 평균 17만 2000개. 그중 비행기에 수하물을 싣지 못해 다음 항공편으로 실어 보내는 지각 수하물 발생률은 100만 개 당 2개로, 세계 공항 평균인 61개와 비교하면 독보적으로 적죠.

연간 여객 수용량에서 세계 3위에 빛나는 인천국제공항! 그만큼 수하물이 많지만, 지각 수하물 수는 압도적으로 적으니 감탄할 만하죠? 앞서 백만 개 중에 두 개 수준, 99.9998%의 정확도를 이야기했죠. 어떤 설비와 시스템들이 184㎞에 달하는 인천국제공항의 BHS를 더욱 완벽한 수하물시스템으로 든든하게 뒷받침하는지 그 방대한 숫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현장 동료들의 이야기

수많은 레인과 회전체가 거미줄처럼 얽힌, 걷기만 해도 땀이 흐르는 공항 밑 BHS 현장! 설렘과 여운이 가득한 공항 청사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의 이곳에서 포스코DX 직원들은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화려한 공항 로비 뒤편, 여객의 여정을 부드럽게 이어주는 그들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볼까요?

기분 좋은 여정의 출발점인 공항. 그 이면에는 복잡하게 얽혀 운영되는 광활한 BHS 설비와 이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포스코DX 직원들의 노고가 있습니다. 30년의 여정을 통해 쌓인 포스코DX의 BHS 기술 노하우와 레퍼런스가 앞으로 포스코그룹이 이어갈 다양한 사업들의 단단한 기반이 되길 바랍니다!

관련 글 보기

URL 복사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공유하기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