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어는 최소 두 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포스텍 이종람 교수 연구팀, 플라스틱 기판에 나노막대 제작 원천기술 개발

포스텍 이종람 교수 연구팀, 플라스틱 기판에 나노막대 제작 원천기술 개발

2017/06/16
–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등 고성능 플렉서블 소자 대량생산에도 기여

포스텍(총장 김도연) 신소재공학과 이종람 교수(사진)와 박사과정 박재용 씨 연구팀이 전기회로들로 구성된 플라스틱 기판에서 나노막대를 기존보다 수백배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나노막대는 빛이 퍼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고효율 광소자 제작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포스텍(총장 김도연) 신소재공학과 이종람 교수(사진)와 박사과정 박재용 씨 연구팀이 전기회로들로 구성된 플라스틱 기판에서 나노막대를 기존보다 수백배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나노막대는 빛이 퍼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고효율 광소자 제작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지금까지 사용된 공정은 플라스틱 기판을 100도 이상으로 유지해야 했고, 1마이크로미터(㎛) 길이의 나노막대를 고온의 기판에서 제작하는데 1시간 이상 소요되는 등 상용화하는 데에 난관이 많았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기판에 은(Ag) 나노박막을 형성하고 기체 상태인 염소 플라스마에 노출시키면 단결정* 염화은(AgCl) 나노막대가 만들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응용해 염화은 나노막대를 1분 이내 짧은 공정 시간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 단결정 염화은 나노막대 제작과정 모식도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 분석과 검증을 마친 이번 연구는 나노막대의 직경 크기를 조절, 빛의 산란도를 0%에서 100%까지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어 LED, 태양전지와 같은 광소자 제작에 응용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 기판을 상온에서 제조할 수 있고 1분 이하의 공정 시간으로 나노막대 길이를 수 마이크로미터(㎛) 길이로 제작할 수 있어 기술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를 주도한 이종람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플라스틱 기판에 단결정 나노막대 기술은 롤투롤 (roll-to-roll) 공정*에 적용 가능하다 면에서 의미가 있다"며 "향후 웨어러블 스마트기기나 스마트 의료기술 등 고성능 플렉서블(flexible) 소자 대량 생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네이처가 출판하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지 6월호에 발표됐다.

 

최혜영 커뮤니케이터

 

URL 복사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공유하기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맨 위로